[바른 우리말 톺아보기] 도긴 개긴 · 도나캐나 · 부아가 나다

Learn Korean Advanced

King Sejong is holding a book. People in Korean traditional clothes are posing positively. flat design style vector illustration. Source: iStockphoto / MINIWIDE/Getty Images/iStockphoto

도긴 개긴 · 도나캐나 등 윷놀이에서 유래된 단어의 정확한 뜻과 올바른 사용법 등 평소에 자주 쓰지만 알지 못했던 우리말의 틈을 살펴본다.


Key Points
  • 도긴 개긴
  • 도나캐나
  • 부아가 나다
여러분의 우리말은 안녕하십니까?

평소에 자주 쓰지만 알지 못했던 말의 어원부터 올바른 사용법까지 우리말의 틈을 샅샅이 살펴봅니다.

바른 우리말 톺아보기 SBS 한국어 프로그램이 함께 합니다.

 도긴 개긴

"어 내가 보기엔 별 차이가 없는데?"

이렇게 하나 저렇게 하나 별 차이가 없다는 뜻으로 말할 때 흔히 '도찐 개찐'이라고 하지요. 혹은 '도낀 개낀'이라는 분도 계신데요. 많은 분들이 쓰시는 '도낀 개낀'이나 '도찐 개찐'은 모두 올바른 표현이 아닙니다. '도 긴 개 긴'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이 말은 원래 '윷놀이'와 관련된 것으로 여기서 '긴'은 '자기 (윷)말로 남의 말을 쫓아 잡을 수 있는 거리'를 뜻합니다. 그러니까 '도 긴'하면 한 칸 앞에 남의 말이 있다는 뜻이고, '개 긴'하면 두 칸 앞에 남의 말이 있다는 뜻이지요.

그래서 '도 긴 개 긴'은 한 칸 떨어져 있으나 두 칸 떨어져 있으나 거기서 거기라는 말로 특별히 뭐가 더 낫거나 좋다고 할 게 없을 때 쓰는 표현입니다.

이것은 한 단어가 아니기 때문에 네 음절을 모두 띄어서 쓰는 것이 원칙인데요. 하지만 단음절로 된 단어가 연이어 나타날 적에는 붙여 쓸 수 있다는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라 '도'와 '긴'을 붙이고 '개'와 '긴'을 붙여서 '도긴 개긴'으로 쓰기도 합니다.

도나캐나

윷놀이에서 유래된 표현 중에서 앞서 말씀드린 '도긴 개긴' 못지않게 잘못 쓰이는 것으로 '도나개나'도 있습니다. 간혹 '되나깨나' 또는 '되나캐나'로 쓰시는 분들도 계신데요.

이것은 모두 '하찮은 아무나 또는 무엇이나'를 뜻하는 표현으로 여기에서 정확한 표현은 '도나캐나'입니다.

예를 들어 "옷 장사가 잘 된다고 하니 도나캐나 나선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데요. '도나캐나'는 한 단어이기 때문에 네 음절을 모두 붙여서 씁니다.

그리고 요즘엔 '어떤 일을 너나 할 것 없이 아무나 한다'고 할 때 '개나 소나 다 한다' 표현도 자주 들을 수 있지요? 개와 소는 예전부터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동물이라는 점에서 비유적으로 쓰게 된 것인데요.

그런데 '도나캐나'와는 달리 '개나 소나'는 한 단어가 아니기 때문에 '개나'와 '소나'를 띄어서 쓴다는 점도 알아두세요.

부아가 나다

우리가 살아가다 보면 화가 나는 일이 종종 생길 수 있습니다. 마음속에서 화가 난다든지 분한 마음이 생길 때 '부화가 치민다'고 하는 분들도 계시고 '부아가 치민다'고 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이 둘 중에서 맞는 표현은 어느 것이고 그 표현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노엽거나 분한 마음'을 뜻하는 표현은 '부아'가 맞습니다. '부아'는 숨을 쉴 때 필요한 기관인 '폐'를 가리키는 순우리말 표현입니다.

일반적으로 화가 나면 숨이 가빠지지요. 그렇게 되면 가슴이 부풀어 오르는 것처럼 보이게 되고요. 바로 여기서 나온 표현이 '부아가 나다' 또는 '부아가 치밀다'입니다. 간혹 '부애가 난다'고 하는 분들도 계신데요. 이것 역시 바른 표현이 아닙니다.

오늘은 노엽거나 분한 마음을 뜻할 때 사용하는 표현인 '부아'의 정확한 뜻을 알아봤는데요. 건강하게 지내려면 부아가 치밀지 않게 화를 잘 다스리는 방법을 알고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바른 우리말 톺아보기 지금까지 유화정이었습니다.


Share